목록으로멘토링 #6

멘토링 요청

멘토링 상세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6
2025. 7. 18.

멘티의 고민

1. 어떤 상황에 계신가요? 신입 백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사용자 트래픽을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 기업 위주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어려운 채용 시장에 부딪히면서, 나아가려던 방향에 대한 확신이 흔들리고 다른 길도 찾아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2. 가장 답답하거나 고민되는 지점은 무엇인가요? 연이은 불합격의 원인을 제 부족한 기술력 탓으로만 돌리며 자책하는 것입니다. 방향이 틀리지 않았을 수도 있는데, 실패가 반복되니 자신감이 크게 떨어졌고 '내 실력이 부족해서 안된다'는 생각에 가장 답답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3. 멘토링을 통해 어떤 점이 해결되길 바라시나요? 현재 제 역량과 시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진단받고 싶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어떤 기준으로 기업을 바라보고 준비해야 할지, 흔들리는 방향성을 명확하게 다잡아 다시 확신을 갖고 취업 준비에 매진하고 싶습니다.

멘토의 의견

2025. 7. 18.

1번 답변 요즘 시장 상황이 안좋다, AI로 인해 신입을 채용하는 사례가 많이 줄어들었다. 라는 말이 많이 들려오면서 많은 분들이 같은 걱정을 하고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이렇게 여쭤보고 싶어요. 왜 백엔드 개발자를 하고 싶으신가요?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서만 하시는거라면, 저는 지금 상황에서 좋은 판단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긴 합니다. 하지만 그게 아니라, 개발이 좋아서, 재미있어서 하시는거라면, 그냥 하시면 됩니다. 아무리 시장이 안좋아도 눈을 조금 낮추면 취업할 자리는 있고, 내가 좀 더 노력하면 문은 열려있습니다. 다른 업계로 간들, 시장이 안좋아서 문이 닫히면 또 다른 길을 찾으실껀가요? 그게 아니라면, 그냥 재미와 즐거움을 기준으로 잡고 해보세요. 요즘 우리나라에 굶어죽는 사람은 없잖아요? 2번 답변 불합격의 원인을 기술력 탓으로 돌린다고 하셨는데, 신입이 기술적으로 뛰어나봐야 얼마나 뛰어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회사에서는 신입이 모든걸 다 해낼거라고 생각하고 뽑는다고 생각하시면 잘못된 생각입니다. 대기업으로 갈 수록 신입도 기술적인 역량이 필요한건 맞겠지만, 그 아래 회사에서는 기본적으로 예의, 태도와 성장 가능성이 우선입니다. 이력서 보면서 다시 생각해보세요. '내가 적은 기술 중, 대학생이 AI를 사용해서 금방 못만들만한게 무엇인가?' 위 내용에 답할 수 있다면, 남들에 비해 기술적인 역량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기술에서 답을 찾지 마시고 기술 외적인 부분에서 답을 찾으려고 노력해보세요. 3번 답변 시간을 내서 내가 왜 개발자를 했는지부터 다시 생각해보세요. 결국 내가 원하던 목적이 있었을꺼고,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는 회사를 찾아보세요. 회사는 무작정 '사용자 트래픽을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에 가고싶은 사람보다, '우리 회사의 목표를 진심으로 공감하는 사람'을 원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말고, 이력서 넣고 면접 보시면서, 채용 담당자에게 피드백 받아보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