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멘토링 #12

멘토링 요청

멘토링 상세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12
2025. 7. 23.

멘티의 고민

1. 어떤 상황에 계신가요? 대기업 협력업체로 일하는 중소 it회사 4년차 입니다. 3년차가 됐을 무렵부터 PL이 돼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데, 이게 이직 때 이점이 될지 궁금합니다. 이직은 기획으로 하고 싶은 상황입니다. 2. 가장 답답하거나 고민되는 지점은 무엇인가요? 대기업에서 사용하는 툴로 개발하거나 타임리프,js,스프링기반으로 개발을 해와서 이게 이력서 작성 시 이력으로 괜찮을지가 궁금합니다. 리액트,타입스크립트 등은 사이드프로젝트로 공부 중이긴 한데, 이것도 이력에 적어도 될지... 뭔가 딱 프론트 개발자라고 하기 애매한 경력인 것 같습니다... PL인 걸 어필해야할까요? 기획으로도 가고 싶은데 기획 포폴이 없어서 고민입니다. 3. 멘토링을 통해 어떤 점이 해결되길 바라시나요? 이직을 하려고 생각할 즈음 PL이 되면서 너무 바빠져 이직 준비를 미뤘는데, 기획으로 포지션 변경 및 이직 준비를 어떻게 하면 될지를 해결하고 싶습니다

멘토의 의견

2025. 7. 23.

일단 '왜 기획으로 이직하고 싶은가'가 있어야하는데, 그게 없어서 조금 아쉽습니다. 먼저 개발을 경험해본 기획자 자체는 나쁘지 않아요. 개발이 되었든, 다른게 되었든, '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연관만 시킬 수 있다면 절대 마이너스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니 채용공고를 잘 읽어보세요. 그리고 PL 역할을 했던 점도, 당연히 도움은 됩니다. 일정 관리, 의사결정 경험, 팀원 관리 경험 모두 도움이 되니까요. 근데, 정작 '기획'에 대한 이야기가 없습니다. 기획자로써 포폴이 없다고 하셨는데, 그럼 어떻게 '기획'의 역량을 증명할건지가 가장 큰 문제가 되겠네요. 기본적으로는 지금까지 해왔던 프로젝트 가운데에서 기획적인 역량을 뽑아내는게 가장 좋구요. 그럴만한 부분이 없다면, 사이드 프로젝트로 여럿이서 팀 프로젝트를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직접 기획해본 경험이 가장 이상적이니까요. 위 방법들보다 더 현업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으시다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이라도 들어가셔서 현업 기획자 분들에게 질문 해보시는 것도 방법이에요. '왜 기획자인지'에 대한 내용이 없어 답변도 조금 아쉽게 나온 것 같지만,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필요하시다면 다시 요청도 가능하니, 좀 더 상세한 내용을 적어주시면 더 상세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